보건복지부가 20일 발표한 화장 통계에 따르면 지난 해 기준 전국 화장률은 76.9%로 집계됐다. 20년 전인 1993년(19.1%)의 4배를 웃돌고 직전 해(2012년)와 비교해도 2.9%포인트 더 높아졌다.
남성 화장률(80%)은 여성(73%)보다 7%포인트 높았고 60대미만 화장률(92.5%)은 60대이상(72.6%)보다 20.1%포인트 높았다. 전반적으로 사망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화장 비중이 커, 20대의 경우 99.5%에 달했다.
시·도 중 화장률 1위는 부산(89.2%)이었고, 이어 인천(87.8%)·울산(84.4%)·서울(84.2%)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충남(59.3%)·제주(59.9%)·전남(60.8%)·충북(63.2) 등에서는 여전히 매장 등 다른 방식도 적지 않았다. 또 수도권의 화장률(83.8%)이 이외 지역(72.2%)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화장률이 2005년(52.7%) 처음으로 매장률을 앞지른 뒤 인구 고령화, 가족구조 변화, 매장공간 부족 등으로 해마다 약 3% 포인트씩 높아지고 있다”며 “2~3년 후에는 화장률이 선진국 수준인 80%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화장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계속 화장 관련 인프라를 확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10월 현재 전국의 화장 시설은 모두 55곳(화장로 319개)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