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이하 위원회ㆍ위원장 박인환)는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이 있는 일본 기업 1,493개를 조사한 결과 299개가 현존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29일 밝혔다.
위원회는 조선인 노무자 공탁금 문건과 후생연금 대장 등 일본 정부와 기업이 생산한 강제동원 관련 문건을 비롯해 현지 신문, 연구자료, 해당 기업 홈페이지 등 각종 기록을 검토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299개 기업 중에는 일본 3대 재벌로 알려진 미쓰비시, 미쓰이, 스미토모 계열 기업을 비롯해 히타치 중공업, 닛산, 마쓰다 등 자동차 업체, 화장품 업체 가네보, 맥주회사 기린, 가전제품 업체 파나소닉 등 일본 유수 기업이 여럿 포함됐다.
특히 미쓰비시와 히타치는 정부조달협정에 따른 국제 입찰을 통해 국내 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을 수주했고, 방위사업청도 이들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검토하는 등 국내에서 막대한 이익을 거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군수공장이 194개로 가장 많았으며 항만운송 44개, 토건 31개, 광업 28개 등이다.
위원회 관계자는 “지멘스를 비롯한 독일 전범기업은 강제동원 피해를 준 타국 피해자들에게 여러 차례 사과와 배상을 했으나 일본 전범기업은 조선인 강제동원을 성장 발판으로 삼았음에도 동원 사실조차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두 차례 일본 전범기업 명단을 발표해 온 선진통일당 이명수 의원은 이날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전범기업에 대한 입찰 제한을 강력히 실천해 역사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