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8~30일까지 카자흐스탄 의료수입업체인 잉카와 바이 팜, 바이 메드 센트레, 썬카 메디컬 컴파니, 바이오비트럼 아스타나 등 5개 사를 초청, 도내 제약사와 의료기기 업체와 메디컬 비즈니스 상담을 갖는다고 밝혔다.
이번 상담에서는 경기도내 제약업체와 의료기기업체 30여 곳이 참여해 국산 의료기기의 카자흐스탄 진출 여부를 타진할 예정이다.
방문단은 28일 오킴스 피부과와 사과나무치과병원 등을 방문해 레이저의료기기, 피부진단기, 치과유닛, X-선 진단장비 등 실제 사용하고 있는 국산 의료기기를 살펴본 후 해당 의료기기 제조업체와 수출 상담을 가졌다.
투선바예브 무랏 바이 메드 센트레 이사는 "경기도 연수를 받은 카작의대 의사로부터 한국 의료기기에 대해 많이 들었다"며 "병원에서 실제 장비들을 살펴보니 꼭 구매하고 싶다"고 말했다.
방문단은 또 29일 분당서울대병원을 방문해 IT정보시스템과 다빈치로봇 등 최신 의료장비를 살펴 본 후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리는 카자흐스탄 메디컬 비즈니스 상담회에 참여할 계획이다.
이날 태준제약 등 제약업체와 함께 초음파진단기, 내시경 카메라, 치과장비, 자동제세동기, 재활장비 등 도내 의료기기 제조업체 30여 곳이 참가해 1대1 개별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CIS지역(독립국가연합)을 겨냥한 의료상품 수출에 나선다.
방문 마지막 날인 30일에는 인포피아(당뇨측정기), 참메드(이비인후과), 디알젬(X-선 장비) 등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견학하고 역시 비즈니스 상담을 갖기로 했다.
카자흐스탄은 러시아, 벨라루스와 함께 3국 관세동맹 체결국가로 역내 물품의 이동이 자유롭고, 의료제품의 인허가 비용이 저렴하며 까다롭지 않아 CIS지역과 중앙아시아 진출을 위한 최적지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2년 동안 카자흐스탄 의사 49명이 경기도내 의료원에서 연수를 받은바 있다. 김용연 도 보건복지국장은 "카자흐스탄에 설치된 GMBC(경기의료지원센터)의 현지 조사를 통해 한국 의료상품에 관심이 많고 구매력이 높은 수입업체들로만 방문단을 꾸린 만큼 높은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