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는 15일 일본군 위안부 등 한일 간 과거사 갈등에 대해 "미국은 일본 정부에 대해 치유·화해를 도모하는 발언이나 노력이 이뤄지도록 독려하고 있다"면서 "이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지난 3월5일 피습사건 이후 처음으로 언론 공개 외부강연에 나선 리퍼트 대사는 이날 한국국방연구원(KIDA) 주최로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조찬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피습으로 크게 다친 왼손에 착용했던 치료 보조기(일명 '로봇손')를 풀고 비교적 원활하게 두 손을 움직이기도 했다.
리퍼트 대사는 '한미동맹 현 상황 평가 및 전망'을 주제로 한 특강에서 "미국이 (한일 간에) 공식적 중재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고 한일 모두 훌륭한 민주국가이기 때문에 만족할만한 해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독려하는 역할을 할 뿐"이라면서 "미래 협력가능성 진전에 대해 많은 협력이 3국(한미일) 간에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비핵화 없이 경제발전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북한은 깨달아야 한다"면서 "북한은 비핵화로 이어지는 진정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회담에 대해 진지하게 나올 자세가 있다는 것을 반드시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이란·미얀마·쿠바와 대화에 임해 진전을 이끌어냈고 북한에 대해서도 비핵화로 이어지는 진정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협상에 임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그러나 북한이 그런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리퍼트 대사는 한미동맹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 좋다"면서 "한미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한반도뿐 아니라 전 세계 이해관계 증진에 중요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또 "한국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관심을 표명한 것을 환영한다"면서 "한국과 긴밀히 협력해나갈 것이며 관련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알려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동맹과 우리 정부의 한중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대한 질문에 "제로섬 게임이나 큰 두 양대국 간 경쟁하는 걸로 보이지 않는다"면서 "한중관계가 돈독하기를 원하고 미중관계도 좋은 것을 환영한다. 모든 것이 다 잘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1주기를 맞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진심 어린 깊은 애도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