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에 발견된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SMS 문자에 있는 링크를 클릭하면 곧바로 스마트폰이 악성코드에 감염되고 전화번호, 통신사정보, 결제정보 등이 지정된 IP(인터넷주소)로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악성 문자메시지는 “고객님! 요금과다청구 환급금 조회”또는 “고객님! 이번달 사용내역입니다. http://tinyurl.com/☜클릭”의 문자내용과 함께 ‘스마트청구서’, ‘e-청구서’ 형태로 발송되고 있어 이러한 문자를 수신할 경우 클릭하지 말고 삭제해야 한다.
이번 악성코드는 지난달 방통위를 사칭한 앱들의 유사변종으로 파악되고 있다. 방통위는 유출정보를 수신하는 IP 3개를 차단했으며 휴대폰 사용자에게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하는 ‘폰키퍼’등의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할 것을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