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tSectionName(); 영종도는 지금 '깡통주택 공사판' 보상 노린 외지인들 골조만 세운 빈집 난립땅값도 급등…건축제한 규정 없어 단속 손놔 영종도=서일범 기자 squiz@sed.co.kr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영종대교를 건너 자동차로 5분가량 더 달리면 인천 중구 운북동(영종도)의 한 작은 마을이 나타난다. 논과 밭으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시골 동네처럼 보이지만 여느 촌락과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자그마한 마을 곳곳에서 신축주택 공사가 한창이다. 마을 길 100m마다 두세 채 꼴로 새 건물이 올라가고 있다. 이곳에서 만난 마을 주민 김모(36)씨는 “보상을 노린 외지인들이 몰려들면서 동네 전체가 공사판이 됐다”며 “개발이 진행되면 다 헐어야 할 주택들”이라고 말했다. 영종도 미개발지(계획미수립지역)에 보상을 노린 ‘깡통주택’이 난립하고 있다. 깡통주택은 건물의 골조만 올려놓은 채 사람은 살지 않는 집이다. 인천 중구 운북ㆍ운남ㆍ중산동 등 영종도 미개발지 1,765만㎡에 깡통주택이 들어선 것은 지난 2007년부터.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이 지역 땅을 일괄적으로 수용해 보상하면 두세 배 이상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이후 깡통주택은 더욱 늘어났고 지금도 여기저기 빈집만 지어지고 있다. 하지만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 관할관청은 이 같은 깡통주택에 대해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아닐 뿐더러 건축행위 제한에도 묶이지 않아 단속에 나설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자유구역청의 한 관계자는 “애초에 개발을 검토할 때부터 건물 신축을 제한하려 했지만 지역주민의 반대가 극심해 사태가 걷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토로했다. 투기수요가 몰리면서 땅값도 급등했다. 도로가 확보돼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농지의 3.3㎡당 평균 가격은 130만~180만원에 달한다. 영종도 개발이 본격화되기 전과 비교하면 4~5배 이상 오른 가격이다. 현지 A공인 관계자는 “대지로 형질 전환된 땅을 3.3㎡당 150만~200만원 선에 구입하면 보상 받을 때 350만원 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단층 슬래브 주택이라도 하나 지어 추가 이익을 노려야 한다”고 투자를 권유했다. 하지만 아직 사업 기본계획도 나오지 않아 섣불리 투자에 나섰다가 손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다른 관계자는 “이곳이 개발되는 것은 틀림없지만 보상방식은 사업시행 인가가 나온 뒤 논의될 사항”이라며 “이 땅들을 수용한 뒤 돈으로 보상할지 아니면 환지방식으로 개발할지 결정된 게 없다”고 말했다. 만일 환지방식으로 결정이 나면 투자자들은 돈이 아니라 개발 후에 토지로 보상 받게 된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