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측-개방형 국민경선해야 동네잔치 안돼<br>박근혜측-경선시기 늦추고 선거인단은 늘려야<br>손학규측-'본선서 최종승리' 가 선택 기준돼야
| 이명박 |
|
| 박근혜 |
|
| 손학규 |
|
대선후보 결정방식을 둘러싼 한나라당 유력 대권주자들의 3파전이 본격화됐다. 어떤 기준으로 경선을 치르느냐에 따라 각 주자들의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를 놓고 박근혜 전 대표 측은 경선 시기 연기 문제를 제기한 반면 이명박 전 서울시장 쪽은 선거인단 구성 방식 변경에 무게를 두면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또 공정경선문제를 거듭 강조하고 있는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도 목소리를 높이며 설전을 가열시키고 있다.
박 전 대표의 측근인 유승민 의원은 8일 언론과의 전화통화에서 “여당은 최대한 자기 후보에 대한 검증 기간을 짧게 하려고 할 텐데 우리(한나라당)만 혼자 후보를 먼저 뽑아놓을 필요가 있느냐”며 경선 시기 연기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경선 방식에 대해서는 “현행 선거인단 구성 비율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라고 못박으면서도 “다만 전체 4만명 규모의 선거인단 규모를 전체적으로 더 확대하는 방안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 전 시장 측인 정두언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먼저 경선 방식을 결정한 다음에 시기 문제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지금의 경선 (선거인단 구성) 방식대로 간다면 우리들만의 ‘동네 잔치’로 끝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오픈 프라이머리(개방형 국민경선) 도입을 역설했다. 그는 경선 시기 연기 문제에 대해서는 “좀 뒤처지는 주자 등이 요구하는 것 같은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검토가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손 전 지사 역시 이날 불교방송의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경선방식에 대해 “본선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해야 한다는 것이 모든 선택의 기준이 돼야 한다”고 의견을 제기했다.
3자간의 논쟁은 각 캠프의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는 게 당내 주된 평가다. 특히 박 전 대표는 그동안 경선 연기 불가 방침을 고수해왔다. 정 의원의 ‘선 방식, 후 시기’ 발언도 이 전 시장이 지지율 고공 행진을 이어가는 상황에선 경선을 굳이 연기할 필요가 없다는 상황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 또 손 전 지사는 상대적으로 아직은 여론조사 지지율에서는 다소 열세이지만 본선에서는 판세가 바뀔 것이란 자신감을 강조하며 역전 무드 조성에 나서는 분위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