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후보 측 모두에서 23일 오전까지 여론조사 설문문항을 결정하지 못할 경우 여론조사가 졸속으로 진행돼 후유증을 남기거나 어느 한 후보의 전격적인 양보 없이는 대선 후보 등록일 전 단일화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두 후보 측은 이 같은 가능성에 대비해 여론조사업체 3곳을 미리 선정하는 등 기본적인 준비는 마친 상태다. 남은 것은 여론조사 대상자 선정 등 세부규칙 조율과 면접관(여론조사 진행자) 교육 등이다. 면접관 교육에는 통상 하루 정도가 걸린다는 게 여론조사업계의 설명이다.
여기에 여론조사를 이틀간 시행한다고 가정하면 아무리 적게 잡아도 사흘의 시간이 필요하다. 후보 등록일(26일)로부터 역산하면 최소 22일에는 여론조사 방식이 결정돼야 ▦23일 세부 시행 확정 ▦24~25일 여론조사 시행 및 분석 ▦26일 후보 등록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정치권에서는 23일 오전까지만 여론조사 설문이 확정되면 당장 면접관 교육을 실시하고, 그 다음날부터 여론조사를 시행하면 가능하다는 분석도 있다. 기술적으로는 여론조사 시행일을 하루로 단축하는 방안도 있다. 면접관 수를 대폭 늘리거나 표본 수를 줄이는 경우라면 조사 기일을 줄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여론조사에 필요한 전체 기간은 이틀로 줄어든다. 다만 '졸속 여론조사'라는 비판을 면할 수 없어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는 것도 문제다.
특히 여론조사 결과 두 후보 간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을 경우 패배한 쪽이 기꺼이 승복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양측 지지세력 간 세력 통합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여론조사 시행 기간이 최소한 이틀은 돼야 한다"며 "후보 간 단일화 협의가 늦어질수록 단일화에 성공하더라도 '졸속'이라는 비난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