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표는 23일 긴급기자회견에 이어 관악을 보궐선거 유세 중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오래된 일이라 100% 확실하게 단언하기 어렵다”면서도 “분명한 건 그 분의 사면이 이명박 당시 대통령 당선인 측의 요청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대표는 앞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도 “후임 대통령을 위한 배려”였다며 성 전 회장의 참여정부 특혜 사면 의혹을 거듭 부인했다.
문 대표는 ‘성 전 회장이 상고를 포기한 직후 사면이 이뤄졌다’는 여권 측 주장에 대해 “사면을 사전에 준비한 게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질만하다”면서도 “만약 이 전 대통령측과 무관하게 참여정부가 성 전 회장을 사면한 것이고 그 사면을 위해 상고를 포기하게 된 것이라면 처음부터 당연히 사면대상자 명단에 포함되지 막바지에 뒤늦게 추가됐을 리가 있겠느냐”고 설명했다. 또 성 전 경남기업 회장이 포함되지 않은 채 1차 사면 명단이 발표된 날과 같은 2007년 12월 28일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동에 대해서도 “회동이 성 전 회장을 사면하게 하는 데 분위기상의 도움을 줬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문 대표의 거듭된 해명에도 ‘이 전 대통령 인사 누가 참여정부에 사면을 건의했는지’ 등에 대해 구체적 해명이 없어 사면비리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새정치연합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이 전 대통령 인수위 실세에게 들으니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성 전 회장이 인수위에 들어와 있었다고 들었다”며 “이 전 대통령 측 핵심 인사가 그를 사면시켜 인수위에 넣어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