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현기환 전 의원이 수수 의혹을 극구 부인한다니 배달사고일 수 있다"고 전제하며 이같이 말했다. 정 전 위원장은 지난 2월부터 두 달간 공천위원장으로 현기환 전 의원을 비롯한 9명의 위원과 함께 총선 후보자를 공천했다.
그는 "공천위원끼리 후보가 돈으로 유혹하면 바로 공천위원장에게 신고하고 내가 고발하기로 결의했었다"면서 "말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쇼크가 크다. 상상이 안 된다"고 토로했다.
그는 "당시에 새누리당은 어려운 입장이었고 당을 살리고 나라를 살리는 자세로 임했다"면서 "공천 최우선을 도덕성에 뒀는데 그게 무너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비례대표 공천을 현기환 전 의원이 좌우했다는 의혹에는 선을 그었다. 그는 "혹시라도 공천 잡음이 생길까봐 한 사람이 비례대표 공천 전 과정에 관여할 수 없도록 소위원회로 업무를 분담했다"면서 "현기환 전 의원은 비례대표 공천 절차와 기준을 마련하는 일만 맡았다"고 전했다.
그는 "현영희 의원은 부산 중ㆍ동구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여론조사에서 1위를 하지 못했다"면서 "지역구에서 낙천했더라도 우수하거나 필요한 인재이면 비례대표를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공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전 위원장은 "현영희 의원은 처음에 25번을 받았다가 뒤에 이봉화 전 차관이 탈락하면서 23번으로 앞당겨졌다"면서 "당시 공천위에서는 많아야 22번까지 당선될 것으로 봤기 때문에 돈을 받았다면 20번 안쪽이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