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7시36분 세월호 사고 해역에서 구조작업을 하던 민간잠수사 이모(53)씨가 숨졌다.
전날 현장에 도착한 이씨는 이날 오전6시7분 수상에서 호스를 통해 잠수사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머구리' 방식으로 첫 잠수에 나섰다. 이씨의 임무는 세월호 5층 로비로 진입할 수 있는 잠수사 이동 안내 줄(가이드라인) 설치였다. 이씨가 잠수하고 5분가량이 지나 수심 25m 지점에 도달했을 때 갑자기 바지선과의 통신이 중단됐다. 이씨가 잠수 중 "25m, 30m"라고 잠수 깊이를 알려야 하는데 더 이상 아무 소리가 들리지 않은 것. 이상을 느낀 해양경찰청 소속 잠수사가 곧장 구조를 위해 물속에 뛰어들었고 약 20여분 만에 이씨는 물 밖으로 꺼내졌다. 이씨에 대한 심폐소생술이 진행됐고 다시 20여분 뒤 헬기로 전남 목포 한국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이씨는 결국 세상을 떠났다. 이씨에 대한 병원 검진 결과 머리에 공기가 차 있는 '기뇌증'이 확인됐다. 압력 차이로 발생하는 병증으로 다이빙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중에서 의식을 잃은 이씨를 발견했을 때 가이드라인에 공기공급선이 걸린 상태였으며 구조자가 가이드라인을 끊고 물 위로 올라왔다. 이씨가 착용한 잠수장비의 공기공급과 통신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이 때문에 수중에서 공기공급선이 가이드라인과 얽히며 이씨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씨는 해경이 동원령을 내려 소집된 민간단체 인명구조협회 소속 잠수사로 화력발전소와 댐 건설에도 참여한 베테랑 산업잠수사로 알려졌다.
이런 이씨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자 무리한 잠수가 화를 부른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사고 해역은 조류가 몹시 빠르고 시야가 흐려 잠수 여건이 좋지 않은데 충분한 현장 적응과정 없이 곧바로 작업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침몰사고 초기부터 잠수수색에 투입된 한 민간잠수사는 "새로 투입된 잠수사들이 현장상황에 적응하려면 적어도 4~5일은 걸릴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바지선에 의료진이 없었던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해경의 요청으로 바지선 인근에 있던 청해진함 군의관이 바지선으로 다가와 인공호흡 등 긴급구호 조치를 했지만 이미 이씨의 의식은 없는 상태였다. 청해진함과 바지선 간 거리는 900m 정도로 해경의 구호 연락을 받고 해군 의료진이 바지선으로 가기까지는 7분이 소요됐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사고 이후에야 바지선에 군의관과 보건복지부 소속 의사들을 투입해 입수 전 혈압·맥박 등을 검진하겠다는 뒤늦은 대책을 내놨다.
이날 오전까지 대책본부가 공식 집계한 잠수사 부상자 현황은 부상 17명, 사망 1명이며 부상자 중 16명은 잠수병 증세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