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에 따르면 KDI는 올해 인플레 전망치를 2%에서 1.6%로 낮췄으며 호주 ANZ은행도 당초 2.6%에서 1.9%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이는 한국은행의 올해 인플레 목표치 2.1%에 모두 못 미치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떨어지는 원인으로 원화 가격 강세로 인한 수입 물가 하락과 세월호 후유증인 소비 위축을 꼽았다.
ANZ의 홍콩 소재 레이먼드 융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에 “원가가치 강세와 세월호 여파로 디스인플레에 대한 우려를 더욱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에 의하면 기대 인플레 지표인 명목국채금리가 지난달 23베이시스포인트(1bp=0.01%) 하락해 1.64%를 기록했다.
이 와중에 한국 물가연동채권(링커스) 투자수익률도 지난달 0.08%로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에 그친 것으로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 메릴린치가 분석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연말로 갈수록 경기 회복에 힘입어 물가도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크레디 아그리콜 CIB의 홍콩 소재 프란시스 정 아시아 금리전략 대표는 블룸버그에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인플레도 점차 높아질 것”이라면서 “연말까지 3%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지금이 한국 물가연동국채에 투자할 시점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