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남북 간 합의문 4항의 '남과 북은 준비되는 데 따라 개성공단 기업들이 재가동하도록 한다'는 조항과 관련, "이 부분은 원칙적인 합의"라며 "그동안 있었던 가동 중단 등의 상황이 재발되지 않는 조건이 (반드시) 마련되고 개성공단이 발전적 정상화가 되는 과정을 밟아가야 (재가동이)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현재 정부가 생각하는 것은 개성공단이 단순히 옛날로 돌아가는 식은 안 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순히 개성공단을 정상화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북측의 일방적인 조치로 개성공단이 멈춰서지 않는 재발방지책이 반드시 강구돼야 한다는 강경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변인은 이어 후속회담과 관련,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들어가는 방향에서 대처하겠다"면서 "차분하게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로 한걸음씩 다가가는 회담이 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후속회담의 대표단 구성 문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검토에 들어갔으며 북측과 대표단 및 회의 일정 등을 협의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개성공단 기업인의 설비점검 문제와 방북 문제에 대해서도 협의에 착수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남북 실무회담과 관련해 남북 간 합의가 파기되는 상황이 재발되지 않게 막는 것이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앞으로 남북관계가 잘 성사되려면 상식과 국제적 규범에 맞는 합의를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합의는 반드시 지켜져야 신뢰가 쌓이고 이를 통해 발전적 관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역시 개성공단 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황우여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의 일방적 공단폐쇄가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게 재발방지 대책을 철저히 마련해야 한다"면서 "입주기업이 건의한 해외유턴제도, 한국 복수공장제 등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게 개성공단 지원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