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7일 서울성모병원 선도형 면역질환융합연구사업단의 김완욱 교수팀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황대희 교수팀이 공동으로 류머티즘 활막세포가 공격성을 갖게 되는 원인을 학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류머티즘 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기본세포인 활막세포가 종양과 같이 과도하게 증식해 뼈와 연골을 파괴하는 특징을 보이는 만성 염증질환이다. 지금까지 완치할 수 있는 약물은 개발돼 있지 못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로부터 얻은 활막세포의 유전자를 분석해 공격성과 파괴성을 책임지는 13개의 후보 유전자를 찾아냈고 이 중 특히 '페리오스틴'과 '트위스트'가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또 활막세포에서 이 두 유전자를 제거하면 공격성과 파괴성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것을 규명해 이들이 새로운 치료 타깃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