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작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이 결정이 몰고 올 파장이다. 연간 50억달러인 구매액은 매출의 1%를 약간 넘는 수준이지만 애국심 고양이 유통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 신경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애플과 GMㆍGEㆍ월풀 등 내로라 하는 제조업체들이 이미 미국 내 공장 건립 또는 U턴을 선언한 데 이어 유통업체들까지 가세한다면 국산품애용운동은 더 거세질 가능성이 높다. 오바마 정부의 강력한 경기회복 의지가 불쏘시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도 어렵지 않게 예상할 수 있다.
바이 아메리카는 보호무역 전쟁의 예고편 격이다. 지난 1930년대 대공황기 미국의 관세인상을 불러온 '바이 아메리카법'과 2차 오일쇼크, 리먼사태 이후 공공기관의 외국제품 구매제한 법안 통과 이후 전세계적으로 무역전쟁이 일어났다는 사실은 그 역사적 증언이다.
문제는 우리 경제에 튈 불똥이다. 무역전쟁은 이미 가시화 단계를 넘어섰다. 현대ㆍ기아자동차와 LG전자ㆍ삼성전자 등이 연비 과장이나 가스레인지 리콜, 특허소송 등에 시달리고 지난해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당한 보호무역 피소 건수가 2009년에 비해 350%나 늘어났다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렇지 않아도 경기침체와 환율상승에 시달리는 우리 경제다. 여기에 보호무역까지 옥죄어온다면 수출기업 홀로 감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가계와 기업ㆍ정부 등 경제주체들이 머리를 맞대고 위기극복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국제기구, 주요 교역국가와의 협력을 통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