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경영 특화 프로그램 운영<br>이공계 출신 CEO 양성 초점
| 송균석 원장 |
|
| 이공계 출신 CEO 요람을 목표로 하는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 |
|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은 이공계 출신 최고경영자(CEO)를 배출하는 대표적인 관문으로 자리잡겠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이공계 인력을 중심으로 기술경영에 특화한 '기술경영(MOT) MBA'와 일반경영에 특화한 '톱(TOP) MBA' 등 두 분야로 나눠 경영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특히 MOT MBA 분야는 기술경쟁이 가속화하는 추세에 따라 2000년대 들어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다.
MOT(Management Of Technology) MBA는 전일제 주간 과정으로 연구개발(R&D) 전략 등 기술 개발과 사업화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췄다. 전통적 MBA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재무ㆍ회계 분야는 물론 생산운영ㆍ인사조직ㆍ마케팅ㆍ전략경영ㆍ국제경영 등 경영 전반 교육을 이공계 인력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기술경영 분야의 교육을 강화했다. 국내 일반대학원의 MOT MS(석사과정) 프로그램에 비해 교과목 수가 대략 1.5~2배가량 많고 기술 창출 및 활용 과정과 관련한 경영 전반 프로세스에서의 경영 이슈를 이해하도록 하는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송균석 건국대 MBA 원장은 "우리 대학을 중심으로 30분 이내 지역에 서울 지역 기술 및 경영 연구소가 집중돼 있고 대기업 본사가 자리잡고 있는 지리적 장점과 국제적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TOP MBA(Top Of your Profession) 는 야간ㆍ주말 과정으로 주로 직장인을 대상으로 경영 전반에 대해 가르친다. 특히 학생들이 현직 직장인임을 고려해 재직 중인 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 도출 혹은 신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건국대 MBA 과정은 기업의 실무 문제에 대한 '현장형 결과물'을 만들어내도록 가르치는 것이 강점이다. 학생들이 교과과정을 통해 결과물을 내게 하고 우수한 결과물은 국제적인 전문가의 심사를 거처 국제 시장에 소개한다. 강의도 하버드대 등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기업체의 현장의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및 대안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학생들은 3~4학기 두 학기에 걸쳐 자신이 전공한 분야에서 신제품 개발,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수업은 기술경영학ㆍ경영학과ㆍ경영정보학과 교수(총 38명)와 현직 기업체 등 기관 재직 산학 겸임 교수(총 11명)가 참여해 산학협력으로 이뤄진다. 건국대는 MBA 교육을 보강하기 위해 7명의 교수진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국제화를 위해 해외 대학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건국대 '밀러MOT스쿨' 명예원장인 윌리엄 밀러 교수를 통해 스탠퍼드대의 우수 프로그램을 반영한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또 일본 와세다대와 중국의 자오퉁대 등 협력 대학과의 학점 교류와 같은 글로벌 연계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우수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장학금 수혜율 60~70%의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송 원장은 "기술경영 MBA 첫 신입생으로 삼성전자ㆍ현대자동차ㆍ포스코 등 대기업 전ㆍ현직 직원들이 지원하고 있다"면서 "시장 수요에 부응한 건국대의 MBA 프로그램 개발 전략이 통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소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