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연평해전 순국장병들을 지켜주지 못한 게 못내 미안할 따름"이라며 "조국은 그들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고 추모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기도 평택시 해군 2함대사령부에서 열린 제2연평해전 10주년 기념식에 참석, 이 같이 말하며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을 포함해 그 어떤 도발도 우발적 실수가 아닌 계획된 도발이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하고 어떤 침공에도 과감히 맞서 대한민국을 굳건히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02년 6월29일 연평해전 해전 발발 이후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이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통령은 "2002년 연평해전은 우리가 북한에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남북 대화와 교류가 활발했던 시기에 일어났다"면서 "그때 우리는 잠시나마 더 이상 전쟁은 없고 곧 평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환상에 젖어 있었는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북한은 바로 그때 오히려 과거 침투 위주의 도발을 넘어 직접적인 대남 군사공격을 자행했다"면서 연평해전을 북한의 계획된 '군사도발'로 규정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도 냉전시대 사고를 버리고 세계평화의 대열에 합류해야 한다"면서 "무력도발을 포기하고 민생경제를 살리면서 남북이 함께 번영하는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하고 그 힘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면서 "국가안보를 위해 어떠한 희생도 마다 않는 단호한 결의만이 북한의 오판을 막고 도발을 억지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에서 이 대통령은 제2연평해전에서 산화한 고(故) 윤영하 소령을 비롯한 6명의 순국전사들을 일일이 호명한 뒤 "조국이 그들을 불렀을 때 그들은 거기에 있었고 온몸을 던져 조국을 지켰다"며 힘줘 말했다. 이어 "아직도 고통 받고 있는 부함장 이희완 소령을 위시한 생존 장병들, 유가족, 전우 여러분의 아픔을 같이 나누고자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