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돌의 선택은 흑1이었다. 얼핏 보기에는 6의 자리에 두어야 더 튼튼할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그게 아니다. 한 발 물러나 실전처럼 꽉 잇는 것이 정답이다. 이세돌은 포위망에 단점을 조금도 만들지 않으려고 잔뜩 신경을 쓰고 있다. 단점을 남겼다가는 중원 전투의 양상이 아리송하게 된다는 것을 그는 알고 있다. 좌변에서 중원으로 흘러나온 흑대마가 아직 미생이고 그 흑대마를 끊고 있는 백3점도 역시 미생이다. 하변 전투의 양상에 따라 좌변 미생마들의 운명이 달라질 것이다. 이세돌이 7로 막았을 때 이창호는 8분의 시간을 썼다. “설마 끊으려는 것은 아니겠지요?”(김성룡) “이디(‘여기’의 제주도 사투리)를 끊어. 위를 끊는 것은 무조건 안돼.”(양재호) 참고도1의 백1로 끊는 것은 흑2ㆍ4로 간단하게 하변 백대마가 잡힌다. 이창호는 실전보의 백8로 끊었다. “여기가 기로인데….”(양재호) “흑은 하변을 싹싹하게 포기하고 중원 전투에 주력할 것 같아요.”(김성룡) “하지만 세돌이형은 기질상 하변을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겁니다.”(김주호) 싹싹하게 포기하는 코스는 참고도2의 흑1로 물러나는 것이다. 백이 2로 하변을 접수하면 흑3으로 중원을 못질한다. 백4면 흑5ㆍ7로 공격한다. 이 코스는 흑이 압도적으로 유망할 것이다. 그러나 김주호 8단이 예측한 것처럼 이세돌은 하변을 쉽게 포기하지 않았다. 하변에서 큰 패가 날 것 같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