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시점을 놓고 말들이 무성한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21일 전격 개각을 단행한 것은 개각이 더 늦어질 경우 ‘장관공백’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노동개혁, 경제활성화 법안을 처리한 뒤에 개각을 단행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고 국회 임시국회 일정을 감안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내년 1월 초에 개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노동개혁 5개 법안과 경제활성화 2개 법안이 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각카드를 꺼내 들었다. 왜 그랬을까.
내년 총선에 출마하는 현직 장관들은 1월 14일까지 사퇴해야 한다. 후임 장관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통상 20일 가량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오는 24일을 넘겨 개각에 나서면 현직 장관은 사퇴를 한 상태에서 인사청문회 절차로 후임 장관은 미처 임명되지 못하는 장관 공백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해 청와대가 이날 서둘러 개각을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 또 개각 발표가 늦춰지면 공직사회가 동요하고 국정업무 추진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개각 단행의 요인으로 꼽힌다./서정명기자 vicsj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