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판이 혼탁해진 것은 대선후보 간에 초박빙 양상을 보이자 결정적인 한방으로 판세를 뒤집어야 한다는 유혹이 커지기 때문일 것이다. 정책과 비전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갖추지 못하다 보니 한편에서는 네거티브 공세를 중단하겠다고 공언하면서 뒤로는 네거티브에 의존하는 저급한 정치행태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이러니 실체도 불분명한 사건을 놓고 정치공작이니 반민주적 사태니 하는 공허한 말싸움만 지루하게 이어지기 마련이다. 여기다 대선캠프는 물론 이른바 사회지도층이라는 인사들까지 폭로전쟁에 가세하며 유권자들을 현혹하고 있어 안타깝기 그지 없다.
네거티브 선거는 민심왜곡 현상을 초래하고 국민의 정치불신을 조장한다는 점에서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과거 17대 대선 때나 서울시장 선거에서도 병역비리 같은 근거 없는 말들이 나돌아 선거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비방ㆍ흑색선전 행위로 조치된 것만도 20여건으로 17대 대선 때보다 두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이러다가는 선거 후에 빚어질 심각한 국론분열과 후유증을 어떻게 감당할지 걱정스럽기만 하다.
각 대선진영은 무분별한 흑색선전을 즉각 중단하고 정상적인 선거운동에 나서야 한다. 지금은 후보 자신의 정견정책을 널리 알리고 새 정치의 비전을 제시하기에도 시간이 모자랄 판이다. 당국도 선거과정의 비방행위와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 조사해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국민들은 후보들의 감언이설과 구태의연한 막장 행태를 걸러낼 수 있도록 날카로운 눈을 가져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