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지난해 전국 42개 시·군 농촌지역민 500명을 대상으로 인구, 경제, 문화, 가족사회, 농촌자원 등 5개 영역에 대해 다문화가족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기여도를 조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농촌지역민의 55.3 %가 다문화가족이 ‘미혼남성 결혼문제 해결 및 농촌가족사회 유지’에 ‘대체로 또는 매우 기여한다’라고 응답했으며, ‘전혀 또는 대체로 기여 안한다’란 응답은 10.8 %에 불과했다.
또 ‘출생률 증가’도 절반 이상이 ‘대체로 또는 매우 기여한다(54.3 %)’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전혀 또는 대체로 기여 안한다(15.7 %)’라는 의견은 낮았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변화 양상’과 관련해서는 남성의 경우 57.5 %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라고 응답했으며, ‘부정적으로 변화했다’라는 응답도 8.8 %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여성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라는 응답이 64.6 %로 남성보다 높았으며, ‘부정적으로 변화했다’라는 응답은 4.6 %로 남성보다 2배 가량 낮게 나타났다.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한 주요 원인으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미혼 남성 결혼문제 해결’과 ‘결혼이민여성의 부모 부양’을 꼽았다.
‘결혼이민자 유입에 대한 효용 평가’와 관련해서는 남성의 58.7 %가 ‘이익이 크다’라고 응답했으며, 17.5 %는 ‘손실이 크다’라고 생각했다. 여성은 ‘이익이 크다’라는 응답이 남성보다 낮은 46.1 %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손실이 크다’라는 응답은 여성(23 %)이 남성(17.5 %)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
‘문화다양성 증가’ 및 ‘한류의 세계화’에 대해서는 각각 48.6 % 및 44.8 %가 ‘대체로 또는 매우 기여한다’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전혀 또는 대체로 기여 안한다’라는 응답은 각각 14.3 % 및 15.1 %로 나타났다.
이밖에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있어서 남성은 일본, 여성은 새터민에게 가장 큰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반해 남성은 조선족, 여성은 조선족과 미국인에게 사회적 거리감이 가장 낮아 높은 친밀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