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이 홀 속에 떨어지는 ‘땡그랑~’ 소리는 한 홀을 깔끔하게 끝내는 마침표와도 같다.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짧은 퍼트에 대해 컨시드를 받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직접 홀에 넣어 마무리하는 일은 골프의 진정한 즐거움 중 하나일 것이다.
중거리나 장거리 퍼트가 쏙쏙 홀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 그날은 ‘그분’이 오신 날이라 좋은 스코어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우리는 대부분 2퍼트로 홀아웃 하는 상황을 맞게 된다. 첫 퍼트를 홀 1m 반경 안으로 보낸 뒤 짧은 퍼트를 성공시켜야 ‘땡그랑~’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홀을 눈앞에 두고 왔다 갔다 하며 3퍼트, 4퍼트를 하는 것만큼 기분 나쁘고 창피한 일도 없을 것이다.
1m 이내 퍼트는 짧지만 생각만큼 쉽지가 않다. 컨시드 받기에 익숙한 아마추어 골퍼들은 특히 놓치기 쉽다. 짧은 퍼트의 생명은 방향성이다. 중장거리에서는 그린의 기울기를 잘 파악해 퍼트라인을 설정하고 거기에다 스피드까지 적절히 맞춰야 하지만, 1m 이내 퍼트는 속도나 기울기보다 정확한 방향을 향해 일직선 스트로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고 그게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엉뚱한 곳을 향해 친다면 아무리 일직선으로 보내도 볼은 어김없이 홀을 외면해 버린다.
방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퍼터 페이스가 보내고자 하는 방향을 정확하게 바라보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드라이버 샷을 할 때 꽂는 롱 티를 이용해 이를 체크해볼 수 있다.
볼을 놓고 평소처럼 목표 지점을 향해 퍼터 페이스를 볼 뒤쪽에 가져간다. 이 상태에서 퍼터를 움직이지 말고, 친구에게 부탁해 볼만 치우고 그 자리에 티를 놓는다. 볼을 얹는 티의 머리 부분이 퍼터 페이스에 닿게 해서 티와 페이스가 직각을 이루게 한다. 그러고는 이 티가 내가 원한 목표 지점을 정확히 가리키고 있는지 확인해본다.
티가 목표 지점의 왼쪽이나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다면 잘못된 방향으로 페이스를 정렬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 방법을 반복하다 보면 방향성이 좋아지게 된다.
그래도 나아지지 않는다면 반대의 방법으로 해보자. 티로 먼저 방향을 설정한 뒤 이 티를 기준으로 퍼터 페이스를 갖다 대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목표 지점을 향해 몸과 퍼터 페이스가 올바르게 정렬된 느낌을 익힐 수 있다. 방향만 잘 잡아도 쇼트 퍼팅의 성공 확률은 크게 높아진다.
주서율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활약했으며, 현재 교습가로 활동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ygolf@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