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고율 관세 부과 위협을 받고 있는 캐나다가 미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자국 원유를 아시아로 수출하기 위한 대규모 송유관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27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주 주지사와 하루 100만 배럴 규모의 송유관을 건설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새 송유관은 캐나다의 원유 산지인 앨버타주 북부부터 이웃한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서부 태평양 해안까지 연결하는 길이 1100㎞ 규모로 예정됐다. 대신 앨버타주에는 각종 환경 규제에서 예외를 두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앨버타주가 메탄 배출을 75% 감축하기로 했던 기한을 당초 일정보다 연장하고 저스틴 트뤼도 전 총리가 설정했던 배출 상한제도 해제했다. 또 화석연료 사용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연방 규제 대상에서도 앨버타주를 제외했다.
FT는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아시아로 수출을 늘리려는 움직임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캐나다산 원유 97%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이는 미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약 60%, 하루 약 400만 배럴에 달한다. 물량의 대부분은 원유 매장량 세계 3위인 앨버타주 북부에서 나온다. 앨버타주와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밴쿠버를 잇는 기존 송유관은 지난해 5월부터 하루 약 89만 배럴의 원유를 아시아로 수출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이날 “캐나다를 에너지 초강대국으로 만들고 수출 시장을 다각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을 등장시켜 관세정책을 비판한 광고를 미국 프로야구 월드시리즈 때 틀었다는 이유로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캐나다의 대미 관세는 현재 35% 수준이다. 미국 정치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0% 추가 관세를 시행하지 않고 보류한 상태다. 다만 송유관 프로젝트가 브리티시컬럼비아 신민주당(NDP) 등 진보 성향 야당은 물론 여당 내에서도 반대에 직면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로 이날 전직 환경기후변화부 장관을 지낸 스티븐 길보 문화유산부 장관은 이 사업이 환경에 미칠 악영향을 강하게 비판하며 사의를 표명했다. 또 송유관을 건설할 자국 내 민간기업이 부족하고 캐나다산 원유를 구매하겠다는 아시아 국가를 확보하지 못한 점도 문제로 지목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kh22@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