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무감사위원회가 친한(친한동훈)계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절차에 다시 착수했다. 앞서 한동훈 전 대표가 연관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당원 게시판’ 논란에 대한 공식 조사에 착수한 데 이어 김 전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절차에 돌입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며 당 지도부가 친한계를 향한 공세에 돌입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 당무감사위는 그제(26일) 김 전 최고위원에게 ‘당무조사 결과 및 소명기회 부여 통지서’를 발송했다. 통지서에는 김 전 최고위원이 “(윤 전 대통령이) 손에 왕(王)자 쓰고 나온 분 아니냐”고 말해 전직 대통령의 종교 행위를 희화화하고 조롱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김 전 최고위원이 “극우와 사이비 교주의 명령을 받아 우리 당에 입당한 사람들”이라는 발언을 해 특정 종교를 ‘사이비’로 규정하는 등 특정 종교를 부정적 맥락으로 언급했다는 사유도 담겼다. 김 전 최고위원이 “신천지니 통일교니 이런 사람들이 무더기로”라고 발언한 것을 두고 특정 종교인을 부정적으로 언급하며 차별했다는 지적도 포함됐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에 대한 비판도 징계 사유 중 하나로 적시됐다. 김 전 최고위원이 “장 대표가 집권과 득표를 위해서 자신의 영혼을 판 것”라고 발언해 당 대표에 대한 심각한 인격 모독을 저질렀다는 지적이다.
당 당무감사위는 김 전 최고위원의 “보수 정당이 망상 바이러스에 걸렸다” “모두 같은 목소리를 내라고 강요하는데 이것이야말로 파시스트적” “북한의 노동당도 아닌데 갑자기 당성이 뭔지는 잘 모르겠다”는 발언 등도 징계 사유로 판단했다.
앞서 김 전 최고위원은 계파 갈등을 조장했다는 이유로 당 윤리위원회에 회부됐지만 여상원 전 당 윤리위원장은 징계 없이 주의 촉구 결정을 내렸다. 여 전 위원장은 “의사 발표나 정치적 견해에 대해선 민주 국가에서는 자유로워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밝혔다. 이후 당은 여 전 위원장을 교체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원 게시판’ 논란 징계 절차 착수 소식이 전해지자 친한계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은 “이 조사가 이재명 정부를 견제하는데 우리 당이 지방선거에서 승리하는데 도대체 무슨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다”며 “많은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내부 갈등을 줄이기 위해, 우리 당의 승리를 위해 노력하는데 이게 뭐하는 짓인지 모르겠다. 유감이다”라는 뜻을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agnetic@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