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내년 미중 정상회담이 최대 네 차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양국 관계가 안정되면 세계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25일(현지 시간)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내년 네 차례까지 만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트루스소셜에서 시 주석과 전화 통화한 사실을 공개하며 자신은 내년 4월 중국을, 시 주석은 연내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의 발언은 상호 국빈 방문 외에도 두 차례 더 만남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베선트 장관은 “시 주석은 미국에 한 차례 국빈 방문을 하고 도럴(트럼프 대통령 소유의 마이애미 소재 골프 리조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찾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도 11월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중 경쟁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 양국 정상이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려할 만한 큰 충돌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상 간 이처럼 높은 수준의 통화가 가능하다면 나쁜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두 나라 관계를 진정시킬 수 있는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30일 부산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입과 관련해서는 “앞으로 3년 반 동안 중국이 최소 8750만 톤을 구매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그들은 그 일정에 맞춰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대만 문제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진행자가 대만 문제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묻자 베선트 장관은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만 짧게 답했다. 전날 중국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cy@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