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26일 당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이 추진하는 ‘당심 반영 비율 70% 상향 안’을 두고 “민심을 외면한 자충수”라고 직격했다.
조 의원은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당심 70% 경선룰은 뿌리를 세우는 결단이 아닌 스스로 그 뿌리를 말리는 것”이라며 “일부에서는 당심 강화가 민심과의 단절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지방선거는 당 내부 경쟁이 아닌 국민이 심판하는 진짜 민생의 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각에서는 뿌리를 튼튼히 해야 나무가 자란다고 하지만 지금 우리 당은 뿌리가 약해서가 아닌 토양인 민심이 메말라 있기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져 있는 것”이라며 “나무가 자라지 않는다고 뿌리만 더 굵게 만든들, 토양이 거부하면 결국 나무는 말라버린다”고 했다.
이어 “지난해 1월 총선을 앞두고 당 공관위가 지지세가 약한 수도권·충청 등 1권역에는 민심 비율을 80%까지 확대했던 것도 같은 이유였다”며 “반대로 지지 기반이 탄탄한 2권역 지역만 당원 50%·일반국민 50%를 적용했다. 민심이 있어야 이긴다는 현실적 판단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지금 당심 70%를 주장하시는 분들께서 지난해에는 왜 민심 80%를 받아들이셨는지 궁금하다”고 물었다.
그는 “지난해에는 지지율이 민주당과 비슷했는데, 지금은 갤럽 기준 24% 대 43%까지 격차가 더 벌어졌다”며 “이런 상황에서 오히려 당심 비중을 70%로 높이겠다는 것은 현실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선택”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당심 안에 민심이 있다’는 말도 현재 상황을 설명하기 어렵다. 당원 역시 국민이지만, 전체 국민의 축소판은 아니다”라며 “중도·무당층의 불만과 우려가 가장 큰 시기에 당심을 강화하면 결과는 뻔하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콘크리트 지지층 중심의 공천이 이뤄지면, 결국 본선에서 국민이 우리 당을 외면하게 된다. 이것이야말로 외연 확장을 스스로 차단하는 자충수”라고 직격했다.
조 의원은 “지금 필요한 것은 당심 과대평가가 아니라 민심 회복이다. 개딸당 따라 하기가 아니라 국민의 바다에서 답을 찾는 길이다”라며 “작년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서 모든 지역에 당심 70%를 일괄 적용하는 것은 선거를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선거를 결정하는 것은 국민이다. 승부의 열쇠는 당심이 아니라 민심이다”라며 “지금 당이 내려야 할 결단은 ‘뿌리 굵히기’가 아니라 국민 속으로 들어가는 변화와 확장”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agnetic@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