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가 부산시와 한화, 그리고 시민이 함께 가치를 창출하는 불꽃축제 사업구조의 재설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26일 부산시의회에 따르면 김효정(국민의힘, 북구 만덕·덕천, 사진) 의원은 이날 2026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올해 20주년을 맞은 부산불꽃축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부산시가 한화그룹과의 상생 협력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부산시가 제출한 내년도 불꽃축제 예산안을 보면, 협찬금과 티켓판매 수익금 등 자부담을 제외한 시비는 20억 원이 편성된 상태”라며 “시비에 의존하는 현재의 구조는 부산이 글로벌 관광 도시로 나아가는 데 있어 보이지 않는 한계가 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번 발언은 부산과 서울에서 열리는 행사에 대한 한화의 입장차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세계불꽃축제는 한화그룹이 2000년부터 ‘함께 멀리’라는 경영 철학 아래 사회공헌 사업으로 매년 100억 원 규모로 추진해 왔다. 올해는 안전관리를 강화하고자 31억을 추가해 시민들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불꽃과 안전한 관람 환경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동일한 기업이 주도하는 행사임에도 서울은 기업의 사회공헌으로, 부산은 시민의 세금으로 계속 치러진다면 시민들 입장에서는 고개를 갸우뚱할 수 밖에 없다”며 “일부 시민들은 불공평하지 않나 생각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부산도 기업과의 적극적인 업무협약을 통해 축제의 격을 높이고 기업과 지역의 상생 모델을 만들어 가야 할 때라고 제언했다. 김 의원은 “한화그룹은 이미 한화오션·한화파워시스템 등 부산 지역 경제의 든든한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한화가 글로벌 도시 부산을 무대로 기업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릴 매력적인 기회가 될 것”이라며 “부산시는 관광객 유입과 지역상권 활성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지속가능한 축제로 사업을 재설계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scity@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