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5일 “미국의 승인과 결재를 기다리는 관료적 사고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게 한반도 문제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케빈 김 주한미국대사대리와의 첫 만남을 앞두고 나온 발언이었다는 점에서, 남북 관계에 있어서는 우리가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는 ‘자주파’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반도 평화경제 미래비전 국제세미나’에서 1998년 11월 금강산 관광 첫 출항 당시 일화를 소개했다. 당시 북한 금창리 지하 핵시설 의혹이 제기된 상황에서 미국 측에서는 한국 측이 금강산 관광 일정을 연기하기를 바라는 기류가 있었다. 국내에서도 빌 클린턴 미 대통령의 방한 이후로 출항을 늦춰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정 장관은 “당시 (클린턴) 미국 대통령이 일본에 있었고,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다녀간 이후로 출항 날짜를 늦춰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그러나 김대중 전 대통령은 바로 출항할 것을 지시했다”고 회고했다. 이어 “클린턴 대통령이 일본을 뜨기 전 ‘38선’을 넘으라는 (김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면서 “이것이 우리의 ‘자기 중심성’ ‘자기 결정권’을 말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 전 대통령의 결단이 금강산 관광 성공을 이끌었다는 취지다.
정 장관은 중국과 대만이 갈등 속에서도 “해마다 교류·협력의 질과 양은 깊어지고 넓어지고 있다”며 남북이 단절된 현실과 비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2018년 12월 체육회담을 끝으로 현재 7년간 개미 한 마리도 오가지 못하는 완전한 단절 시대를 목격하고 있다”며 “남북 상생, 남북 협력의 시대를 꿈꾸며 2026년에는 한반도 평화 공존, 화해 협력의 신원년이 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esang222@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