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의 대표 스포츠 전문 채널이 태권도 영상을 ‘닌자(ninja)’로 소개해 국제적 비판을 받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캐나다 최대 스포츠 채널 중 하나인 TSN이 최근 공식 SNS 계정에 태권도 훈련 장면을 올리며 제목을 ‘NINJA TRAINING?’이라고 달았다”고 지적했다. 해당 영상은 좋아요 17만 개 이상을 기록하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영상을 본 국내외 누리꾼들은 “태권도는 엄연한 한국 무도인데, 왜 일본식 단어를 쓰느냐”, “스포츠 전문 채널이 기본적인 사실조차 모른다”며 항의 댓글을 남기고 있다. 일부 이용자들은 TSN 측에 직접 정정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TSN은 1984년 개국한 캐나다 최초의 스포츠 방송사로 현지에서는 ESPN과 함께 양대 스포츠 미디어로 꼽힌다. 이에 따라 “영향력 있는 채널일수록 종목의 정체성과 문화를 정확하게 설명해야 한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번 논란에 미국 라디오 진행자이자 방송 해설가인 모리스 ‘모’ 오켈리(Morris W. O’Kelly) 도 직접 목소리를 보탰다.
오켈리는 TSN의 게시물에 “Taekwondo is Korean. ‘Ninja’ is Japanese. Give the correct art the credit(태권도는 한국 무술이고 ‘닌자’는 일본 개념이다. 올바른 무술에 정확한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라는 댓글을 남기며 잘못된 표기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KFI 라디오 진행자로 활동하며 CNN·BBC Radio 등 주요 방송에서 해설자로 활약하는 미국 내 영향력 있는 미디어 인물로, 태권도·합기도 유단자이기도 해 자신의 SNS에 꾸준히 무술 수련 사진과 태권도 영상을 공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댓글은 빠르게 공감을 얻으며 해외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태권도·유도·닌자의 개념 혼동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논의로 확산되고 있다.
비슷한 사례는 지난해에도 발생했다. 파리올림픽 기간 IOC(국제올림픽위원회) 공식 유튜브 등 공식 SNS에 태권도 연습 장면을 담은 영상이 게시됐다. 영상 속 어린이들은 ‘태권도’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발차기 훈련을 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게시물에는 ‘유도(Judo)’ 해시태그가 달렸다. 사실상 태권도를 유도로 잘못 표기한 것이다. 이에 전 세계 태권도 커뮤니티의 항의가 이어지자 IOC는 해당 표기를 즉각 수정한 바 있다.
서 교수는 반복되는 오표기 문제에 대해 “태권도 종주국에 대한 낮은 인지도, 아시아 무술에 대한 통합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단순한 비난보다 정확한 정보를 알리고 정당한 방식으로 시정을 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ftershoc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