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곳곳에서 오랫동안 제자리걸음을 하던 개발 사업들이 잇달아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각종 규제에 막혀 추진이 지연됐던 서수원 지역 숙원사업들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데다 구도심 규제까지 완화되면서 도시 활력도 눈에 띄게 살아나는 분위기다. 지역에서는 미래 산업 육성과 생활환경 개선이라는 묵은 숙제가 동시에 해결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1일 수원시에 따르면 12년간 진척되지 않던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사업이 4월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이끌어내며 비로소 본궤도에 올랐다. 권선구 입북동 일대 35만 ㎡에 첨단 연구개발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이 사업은 그린벨트 해제 문제가 발목을 잡아왔다. 하지만 시의 지속적 협의와 주민 설득, 대학과의 협력으로 전환점을 맞았다. 수원시는 올해 안에 도시계획위 심의를 마무리하고 내년 착공을 목표로 속도전을 예고했다.
내년 첫 삽을 뜨는 ‘탑동 이노베이션밸리’ 사업 역시 수원 R&D 사이언스파크와 더불어 수원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에 따라 남겨진 26만 ㎡에 달하는 부지를 활용하기 위해 2018년 처음 구상된 이 사업은 민선 8기에 들어서면서 활력을 찾기 시작했다. 2023년 시행자로 지정된 수원도시공사가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면서 올해 초까지 복잡하게 얽힌 행정 절차를 마무리했다.
수원시와 수원도시공사는 탑동 이노베이션밸리 인허가 관련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다각적인 협력으로 우수한 기업을 유치하는 데 힘을 모으고 있다. 서울은 물론 인접 산업단지로 이어지는 교통 접근성이 좋은 데다 공항과 항만이 가까워 물류 경쟁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부각해 지식산업센터, 벤처기업집적시설, 소프트웨어진흥시설 등 ‘한국형 실리콘밸리’의 중심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수원시는 수원 R&D 사이언스파크와 탑동 이노베이션밸리 사업을 기반으로 더 큰 미래를 그리고 있다. 두 거점을 중심으로 수원 경제자유구역을 조성하고, 이를 발판으로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조성한다는 장밋빛 청사진을 내놓은 상태다. 두 지역에 반도체·바이오·IT·AI 등 첨단과학 연구기업을 집중 유치한다는 이 계획은 공모의 첫 관문을 통과한 상태로, 내년 산업통상자원부 심사를 거쳐 최종 지정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구도심에서는 재개발·재건축을 향한 주민들의 관심이 규제 완화와 맞물려 급증하고 있다. 시가 최근 발표한 정비사업 후보지는 총 30곳으로, 주민제안공모 방식 도입 이후 첫 대규모 선정이다. 특히 우만동·지동 일대 4개 구역은 오랫동안 수원화성 주변 높이 규제에 막혀 개발이 불가능한 지역이었지만 지난해 문화재청의 허용기준 조정으로 재개발이 가능해졌다. 수원시가 10여 년간 지속적으로 진행한 규제 완화 건의가 결실을 맺은 셈이다.
20년 넘게 표류하던 영화 문화관광지구도 9월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로 선정되며 새 돌파구를 찾았다. 수원시는 국비·도비 등 총 200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입해 2만 ㎡ 부지에 테마형 숙박시설, 상업·관광시설, 공공문화공간 등을 갖춘 복합 관광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수원화성 방문객을 흡수하는 글로벌 관광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목표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수원 R&D 사이언스파크와 탑동 이노베이션밸리를 중심으로 수원을 첨단과학도시로 도약시키겠다”며 “영화 도시재생 혁신지구와 재개발·재건축 사업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ds1105@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