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줄기세포 전문 바이오기업 네이처셀이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의 미국 현지 생산 거점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에 구축하기로 했다. 총 3억달러(약 4400억원)을 투자해 2031년까지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JointStem)’ 100만 명분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라정찬 네이처셀 회장은 20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의 한 호텔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네이처셀이 3억달러를 들여 볼티모어시에 줄기세포치료제 연구 및 생산 시설인 '바이오스타 스템셀 캠퍼스'(BIOSTAR Stemcell Campus)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라 회장은 “이곳을 난치병을 치료하는 베이스캠프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사에는 해리 코커 메릴랜드주 상무장관 등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내년 초 착공하는 캠퍼스는 10만ft²(평방피트) 규모로 2031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며 조인트스템 100만명분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 확보를 목표로 한다. 조인트스템이란 비수술적 방식의 주사제로, 환자 본인의 줄기세포를 활용해 손상된 무릎 연골을 재생시키는 세포치료제다.
네이처셀은 미국 규제 당국인 식품의약국(FDA)와 조인트스템 판매 승인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8일 FDA와 3상 임상시험 관련 협의를 했다. 라 회장은 "FDA와의 미팅에서는 저희가 3상으로 가는 데 특별한 장애물은 없다는 게 서로 합의됐다"면서 "내년 초에 우리가 3상에 들어가는 게 확정됐다고 해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이처셀은 볼티모어 캠퍼스가 완공되면 현지에서 약 500개의 정규직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볼티모어 시민들을 채용할 계획이며 한국에서 전문가를 데려와 현지 직원들을 교육할 예정이다.
코커 메릴랜드주 상무장관은 "메릴랜드는 5000개 이상의 생명과학 기업이 모여 있는 미국 내 최대 바이오의약품 클러스터"라며 "첨단 혁신 기업이 자리잡기에 최적의 장소"라고 역설했다. 또 "메릴랜드는 네이처셀이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는 것을 지원할 준비가 됐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lassic@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