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 D.C.에서 최근 이른바 ‘마러라고식 외모(Mar-a-Lago face)’로 불리는 성형 스타일이 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18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미국 액시오스 등 외신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트럼프 지지층(MAGA) 엘리트 여성 사이에서 획일적 성형 스타일이 두드러지게 확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러라고’라는 명칭은 트럼프 대통령의 자택이 있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유래했다. 특징은 벌에 쏘인 듯 부풀어 오른 입술, 주름 하나 없는 팽팽한 피부, 과도하게 강조된 볼륨, 짙고 선명한 눈썹 등으로 요약된다. 자연스러운 성형을 선호해온 워싱턴 D.C.의 전통적 분위기와는 상반된 모습이다.
대표적 사례로는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 ‘마가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 트럼프 대통령 장남의 전 약혼녀이자 주그리스 대사인 킴벌리 길포일 등이 거론된다. 이들 모두에서 부풀린 볼, 또렷한 턱선, 주름 없는 이마 등 ‘과장된 외모’가 공통적으로 확인된다는 것이다.
특히 입술 필러가 가장 인기 시술로 꼽히며 보톡스·디스포트 등 근육을 고정해 표정을 최소화하는 주사 시술 역시 수요가 많다. 성형외과 의사들은 “카메라 앞에서 얼굴이 매끈하고 젊어 보인다”는 이유로 해당 시술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설명한다.
다만 부작용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성형외과 의사 아니타 쿨카르니는 “이미 필러로 충분히 채워진 얼굴에 ‘더 넣어달라’는 요청이 적지 않다”며 “과도한 시술은 위험해 일부는 시술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그는 “시술이 반복되면서 정상적인 얼굴 구조에 대한 감각이 흐려지는 ‘필러 실명’ 현상도 나타난다”고 경고했다.
‘마러라고식 외모’ 확산은 여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남성 정치인들 사이에서도 자연스럽지 않은 시술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매트 게이츠 전 연방 하원의원은 지난해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이전보다 부풀린 볼, 짙어진 눈썹 등 달라진 모습으로 등장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부 의사들은 이러한 현상을 “트럼프가 선호하는 미적 기준에 대한 일종의 정치적 충성 신호”로 해석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외모 트렌드는 ‘현대 귀족의 가면’과 유사한 현상”이라며 “정치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일시적 유행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