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통장으로 신축 아파트에 당첨되기도 어려워진 데다, 설사 당첨되더라도 치솟은 분양가를 감당하기 힘들어지면서 청약통장 이탈이 빠르게 늘고 있다. 사실상 ‘새 아파트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지자 청약 시장을 떠나는 수요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1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통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청약통장 총 가입자는 2631만2993명으로, 한 달 전보다 3만6941명 감소했다. 올해 들어 월 기준 가장 큰 폭의 감소다.
가입자 수는 2022년 6월 2859만9279명을 정점으로 꾸준히 줄어 올해 2월 2643만명대까지 내려왔다. 3월과 8월 잠시 반등했지만 다시 감소 국면에 접어들었고 지난 9월에도 2만3000명 이상이 빠져나갔다.
이탈의 가장 큰 원인은 신축 아파트 분양가 급등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최근 1년간 전국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는 605만2000원으로 전년 대비 5.1% 상승했다.
서울은 ㎡당 1422만6000원으로 훨씬 높다. 국민평형(전용 84㎡) 기준으로 환산하면 분양가만 약 16억원에 달한다. 원자잿값·인건비 상승이 이어지며 실수요자의 체감 부담은 더 커졌다.
가점 ‘인플레이션’도 심각하다. 올해 서울 인기 단지였던 송파구 ‘잠실르엘’에서는 4인 가족 기준 만점인 69점으로도 탈락자가 나왔다. 전용 74㎡의 최저 당첨 가점은 무려 74점이었다. 웬만한 무주택 가구로는 접근조차 어렵다는 의미다.
여기에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대출 규제까지 강화되며 자금 조달의 마지막 통로도 막혔다. 분양가에 따라 대출 한도가 제한돼 15억원 초과 주택은 최대 4억원, 25억원 초과는 최대 2억원까지만 빌릴 수 있다.
중도금 대출도 분양가의 40%로 축소됐고,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받아 잔금을 치르는 방식도 금지되면서 ‘영끌 청약’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전문가들은 실수요자가 감당할 수 있는 가격대의 새 아파트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며 고분양가·가점 인플레·대출 규제라는 3중 압박이 지속되는 한 청약통장 이탈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