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교육청이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노동조합)의 21일 총파업 예고에 대비한 비상 총력 대응 체제를 가동했다. 파업으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와 학부모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19일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총파업 예고에 따라 본청 및 전 교육지원청에 파업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현장의 주요 현안 사항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긴급 대응팀을 구성했다.
특히 파업 상황에서도 학생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고, 학교 교육과정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공무직원 파업 대응 매뉴얼’을 각급 학교에 안내하고 사전 대비를 주문했다.
전남도교육청은 파업 참여 인력 규모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혼란인 급식·돌봄·특수교육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학교별 맞춤형 대책을 시행한다.
△학교별 파업 참여 종사자 수를 면밀히 고려해 단축 수업 또는 대체 급식(완제품 빵·우유, 간편식 등)을 실시하고, 불가피한 경우 도시락 지참을 학부모에게 사전 안내하는 등 학생 영양 결손을 막는다.
△초등돌봄교실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 내부인력을 활용해 돌봄 기능을 유지함은 물론 돌봄 수요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특수교육은 학교별 대책 수립과 단축수업 등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불편을 최소화한다.
△학교 행정 업무 및 보건 등 주요 현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에 상황실을 운영한다.
전남도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은 노동조합의 처우개선 요구에 대해 진정성 있는 자세로 성실하게 교섭에 임할 예정”이라며 “노동자의 쟁의권은 존중하지만, 미래 세대인 학생들의 학습권과 안전이 결코 노사 갈등의 희생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동조합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피해를 주는 파업계획을 철회해 주시기를 간곡히 촉구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전남학교비정규직노조는 두 달이 넘게 천막농성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복지비와 휴가 등 근무 여건 개선을 놓고 협상에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조는 맞춤형복지비 65만 원을 100만 원으로 인상, 유급병가 30일 확대, 장기재직 휴가 10년 이상 5일·20년 이상 10일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전남도교육청은 예산 문제로 노조의 요구사항을 단계적으로 수용할 수 밖에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단체협상이 난항을 거듭하면서 노조는 21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전남은 5713명 중 4807명이 투표해 찬성률 89.35%를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hp9900@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