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전철역·대통령실 등 다중이용시설을 겨냥한 폭파 협박이 잇따르자 경찰이 전담팀을 구성해 대응에 나선다. 경찰은 “민형사상 엄정 대응에도 협박이 계속 늘고 있다”며 사건을 한데 모아 수사하는 방식으로 체계를 재정비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박정보 서울경찰청장은 17일 오전 정례기자단감회에서 “백화점, 전철역, 대통령실 등 공공장소를 대상으로 한 폭파협박글이 11월에만 7건 접수됐다”며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향한 협박이 증가해 시민 불안이 크고 경찰력 낭비도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불특정 다수 대상 공중협박, 주요 인사 위해 협박, 허위정보조작 유포행위 등을 전담해 수사할 팀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그간 살인예고 글 게시자에 대해 강경 대응을 이어왔다. 박 청장 “신림역·서현역 이상동기 범죄 당시 살인예고글 게시자를 형사처벌했고, 민사소송도 제기해 최근 1심에서 4300만 원 배상 판결까지 받았다”며 “올해 3월 형법에 공중협박죄가 신설된 뒤 이를 적극 적용해 7개월간 41명 검거, 이 중 4명 구속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그럼에도 범죄가 줄지 않아 전담팀을 통해 더 강도 높은 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새 전담팀은 초동 대응과 정식 수사를 분리하는 구조로 운영될 전망이다. 박 청장은 “초동 대응까지 모두 서울청이 맡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현재는 협박 글 게시 시 일선 경찰서와 사이버 부서가 초동 대응, 광수대는 개별 사건 수사를 하지 않는 구조”라고 말했다. 경찰은 “전담팀은 광역수사대 내 형사기동대 축으로 꾸리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으며, 일선서는 현장 조치, 전담팀은 정식 수사라는 역할 분담을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변호사 사칭 협박 메일’ 등 해외 IP 기반 협박 사건도 전담팀에서 다룰 가능성이 크다. 그는 “해당 사건은 일본 경시청과 공조하고 있어도 수사에 한계가 있었고, 대부분 허위사실이며 실제 피의자 검거 시 ‘그럴 의사 없었다’는 진술이 많다”고 말했다. 경찰은 “관련 사건을 전담팀에서 하나로 모아 집중 수사하면 효율성과 진척도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hsh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