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학 이상 학력을 지닌 20∼30대 고학력 청년층 장기 백수가 13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영향으로 6개월 넘게 구직 활동을 이어가는 장기 실업자 규모도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6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6개월 이상 구직했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한 장기 실업자는 11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10월(12만8000명) 이후 약 4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꾸준히 10만명을 넘겼고, 이후 대체로 10만명 아래로 내려갔지만 지난달 다시 급증했다. 전체 실업자(65만8000명) 중 장기 실업자 비중은 18.1%로, 같은 10월 기준으로는 1999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수준이다. 외환위기 여파가 남아 있던 1999년 10월(17.7%)보다도 높았다.
장기 실업자 비율은 올해 4월 9.3%까지 떨어졌지만, 5월 두 자릿수(11.4%)로 올라선 뒤 6개월 만에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 특히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을 가진 고학력 20∼30대 청년층이 장기 실업자 증가의 핵심 요인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가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해당 집단의 장기 실업자는 3만5000명으로, 지난해 9월(3만6000명)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연령대를 5세 단위로 살펴보면 25∼29세에서 장기 실업 규모가 가장 컸으며, 1만9000명이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마친 뒤 장기간 구직 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직을 아예 포기한 ‘쉬었음’ 청년층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쉬었음 청년은 4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9000명 줄었고, 최근 6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다만 장기 실업자가 구직을 포기할 경우 곧바로 쉬었음으로 이동할 가능성을 고려하면 쉬었음 인구가 다시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