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해 차를 즐기는 인구가 늘고 있지만, 정작 차를 우려내는 티백에서 예상치 못한 위협이 발견됐다.
12일(현지시간) 의료계에 따르면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와 이집트 소하그대학교, 독일 라이프치히 헬름홀츠 환경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은 최근 티백 한 개에서 수백만에서 수억 개에 이르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폴리아마이드(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스 고분자로 만들어진 티백을 대상으로 비교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폴리프로필렌 소재 티백에서 평균 136.7nm 크기의 입자가 밀리리터당 약 12억 개 검출됐다. 셀룰로스 티백에서는 평균 244nm 입자가 약 1억 3500만 개, 나일론 티백에서는 평균 138.4nm 입자가 약 818만 개 방출됐다.
더 우려되는 점은 이들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단순히 배출되는 수준을 넘어 인체에 흡수된다는 사실이다. 연구팀은 "점액을 만드는 장 세포들이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흡수했으며, 입자가 유전 물질을 보관하는 세포핵까지 침투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장 세포로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은 혈류를 타고 인체 곳곳을 순환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티백의 소재 선택도 중요한 변수다. 기존 티백은 가장자리 봉합 등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널리 사용했으나, 미세플라스틱 논란이 커지면서 최근 셀룰로스 등 식물성 소재를 사용하는 제품이 증가하는 추세다. 영국 소비자 보호 단체 위치가 28개 브랜드의 티백을 분석한 결과, 플라스틱이 완전히 제거된 제품은 단 4개 브랜드에 불과했다. 식물성 소재를 사용한다고 해서 미세플라스틱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티백은 일상 속 미세플라스틱 노출의 일부에 불과하다. 중앙대학교병원 이비인과 민현진 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진영 박사가 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10개의 비강 샘플 5개 부위에서 총 39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5mm 이하 크기로 육안 식별이 어려운 미세플라스틱은 인류가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시작한 이후 쓰레기가 잘게 부서지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호흡기를 통해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비염, 기관지염,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폐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최근에는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이 인체로 들어와 혈액에서 발견된 사례도 보고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초미세 플라스틱이 수유를 통해 새끼에게 전달돼 장기와 뇌 조직에 축적된다는 동물 실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미세·나노 플라스틱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된다"며 "이런 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인체에 들어올 경우 발생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60년 전 세계 플라스틱 사용량이 2022년 대비 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nshin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