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13일 국민의힘에 “잠시 멈춰 있는 여야정 민생경제협의체를 가동하자”고 제안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생과 국민의 안전을 위해 초당적 여야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오늘 본회의에서 54건의 민생법안을 처리할 예정이지만 여전히 처리해야 할 민생 법안이 산적해 있다”며 “올해가 얼마 남지 않았다. 시급한 민생 법안, 민생 현안을 더는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생경제를 위해 국회, 여야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민생경제협의체를 비정쟁 평화 지대로 삼아 이 협의체에서 여야가 협력해 나가길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한 정책위의장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국민 체감 민생 정책’ 추진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당은 이미 상임위별 당정협의회를 열어 ‘암표 근절 3법’을 조속히 처리하기로 뜻을 모았다”며 “농수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제도 기반 마련 등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농수산물 유통 구조 개혁, 그리고 섬주민의 교통권 강화를 위한 해운법 개정 등에 본격 돌입했다”고 설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종묘 앞 고층건물 허용과 관련해서는 “유네스코가 지난 4월 종묘 주변 재개발 사업에 관한 부정적 우려와 함께 세계유산 영향 평가를 서울시에 요청했으나 서울시가 영향 평가를 받지 않겠다고 국가유산청에 통보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 유산청은 과거 오세훈 서울시장 재임 당시 종묘 인근 건물 높이로 옥탑을 포함해 최대 71.9미터 높이로 조건을 부여한 바 있다”며 “(오 시장이 허용한) 140미터가 넘는 건물은 유산청 심의 결과를 한참 넘어서는 높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을 향해 “떳떳하면 세계 유산 영향 평가를 받고 국가유산청과의 협의를 진행하길 바란다”며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종묘는 이제 세계인이 함께 보존할 의무 지닌 유산이다. 서울시도 오 시장 개인의 것이 아니다”라고 직격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ys@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