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기사 과로사 방지를 위해 노동계가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이뤄지는 ‘초심야 배송’을 제한하자고 제안하면서 논란이 소비자들에까지 확산하고 있다. 새벽배송이 이미 현대사회 생활 일부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새벽배송이 제한될 경우 불편이 생길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2일 업계 등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달 출범한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초심야 배송을 제한하고 오전 5시 출근조를 운영하자고 제안했다. 노조는 “택배 노동자 다수가 만성 피로와 근골격계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며 “심야노동을 줄이는 게 산업안전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주장했다.
노조 측은 새벽 5시 출근조 운영으로도 배송 체계는 유지되면서 최소한의 수면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실에선 새벽배송이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은 만큼 반발이 만만치 않다. 평소 교대근무로 새벽배송을 자주 이용하는 직장인 이 모 씨(30)는 "새벽에 받지 못하면 상당한 불편이 생길 것 같다"며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매일 '로켓프레시'를 통해 식자재를 구입한다는 김 모 씨(29)는 "매일 이용하는 소비자 입장에선 혹여 (재료의) 신선도가 떨어지진 않을까, 이런 부분들이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소비자들은 물론 새벽배송 기사들도 생계 위협을 우려하고 있다. 가뜩이나 경기침체로 물량이 줄었는데 새벽배송까지 막히면 생계를 이어가기 어렵다며 “밥그릇을 빼앗는 조치”라는 주장이다.
실제 쿠팡 위탁 택배기사 약 1만 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가 이달 3일 24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긴급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약 93%가 새벽 배송 금지에 반대했다. 그러면서 새벽 배송의 장점으로 △교통 원활과 엘리베이터 사용 편리 등 배송 편의성 △높은 수입 △개인 시간 활용 등을 새벽 배송의 장점으로 꼽았다.
일각에선 새벽배송이 금지될 경우 연간 50조 원이 넘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국내 최대 물류산업학회인 한국로지스틱스학회에 따르면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약 40% 감소하면 연간 54조 30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상공인연합회 역시 최근 입장문을 통해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소상공인들이 새벽에 차를 몰고 식자재를 구매하러 가야 해 인력 충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내몰린다"고 우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a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