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개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AI) 인재 양성 방안’은 학사 일정 단축 등 발 빠른 AI 인재 양성 및 지방 거점 대학 육성 등을 통한 AI 인프라 전국 확산을 골자로 한다. 정부는 내년 한 해에만 초중등 AI 교육에 9000억 원, 대학 등 고등 AI 교육에 5000억 원을 각각 쏟아부어 ‘AI 3대 강국’으로 가기 위한 초석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 같은 전략을 바탕으로 AI 거점 대학을 통해 1800여 명, 두뇌한국(BK)21 사업을 통해 1600명 등 연간 최대 8000여 명의 AI 인재 배출이 가능할 것이라 보고 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AI 인재 양성은 국가 생존 차원의 과제”라며 AI 인재 양성 방안을 공개했다. AI 업계에서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AI 학·석·박 패스트트랙 신설이다. 일반적으로 학사를 거쳐 석박사 학위를 받기까지는 최소 8년가량이 걸리는데 이 같은 기간을 5년 6개월로 줄이겠다는 것이 교육부의 계획이다. 과학고를 2년 만에 졸업하는 학생의 경우 고교 입학 후 7년 반 만에 박사과정 이수까지 가능한 만큼 20대 초반의 AI 박사 탄생이 가능해지는 셈이다.
이 같은 패스트트랙 신설을 위해서는 시행령 개정 등 관련 절차가 뒷받침돼야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패스트트랙 신설을 위해 우선 고등교육법에 관련 과정을 통합할 수 있다는 근거가 들어갈 것이며 대통령령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수업연한을 단축할 수 있다는 내용 또한 들어갈 것”이라며 “이후 시행령 개정을 통해서 최대 2.5년까지 이수연한을 단축할 수 있게 할 것이며 이에 따라 대학마다 5.5년, 6년, 7년짜리 학·석·박 과정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AI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이는 우수 학부생에게는 연구·프로젝트 참여 기회와 장학금·멘토링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을 통해 AI 전문가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400명을 선발해 연간 2000만 원 상당의 장학금과 연구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며 박사과정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AI 분야 대학원생을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BK 21 사업 AI교육연구단을 확대하는 한편 대학원 과정 이수 후에도 보다 안정적 생활이 가능하도록 ‘박사후연구원’을 제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국내 석학들이 중국 등 주변국으로 이직하는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이 같은 ‘두뇌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우수 교원이 정년 후에도 교육 및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국가석좌교수’ 제도를 마련한다.
교육부는 이번 AI 인재 육성책을 통해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철학인 ‘국가균형성장’까지도 동시에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지방 거점 국립대 중 3곳에 총 300억 원을 투자해 이들 대학을 ‘지역 AI 거점 대학’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역 산업과 연계되거나 AI 관련 학과 중심의 단과대를 설치하는 한편 AI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인 ‘그래픽처리장치(GPU)’ 구축 비용을 지원한다. AI 관련 비전공 대학생이 AI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거점 국립대 중심으로 AI 기본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30개 대학에 여타 학문과 AI를 결합한 융합 강좌, AI 윤리적 활용 등의 교양 강좌 개발 또한 지원한다. 정부는 이 같은 전략을 바탕으로 거점 대학에 지역 AI 인재 양성의 이른바 ‘허브’ 역할을 부여해 대학 외에도 기업과 연구소 등이 협력하는 지역 AI 인재 양성의 구심점 역할을 하도록 할 방침이다.
확실한 일자리 없이는 AI 인재 모집에도 한계가 명확하다는 판단하에 AI 인재와 산업체 간 연계 강화에도 나선다. 대학 졸업 후 바로 취업이 가능한 계약학과나 계약정원제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기업이 자체적으로 기업에 특화된 AI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사내 대학원 설치 제도를 정비하는 한편 산학 협력 연구 성과를 학위로 인정하는 ‘산업학위제’도 도입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평생교육법과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이 같은 AI 인재 육성안이 오픈AI의 ‘챗GPT’가 출시된 지 3년가량 지난 상황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지나치게 늦은 정책이 아니냐는 쓴소리가 나온다. 실제 최근 몇년간 국내에서는 ‘AI발 위기론’이 비등하다. 하버드케네디스쿨이 올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AI 기술 수준은 ‘글로벌 3강’은커녕 세계 9위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AI 기업이 부재한 데다 AI를 설계하거나 운용하기 위한 일종의 소프트웨어 기술인 ‘알고리즘’ 부문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토터스미디어가 발표하는 글로벌 AI 지수에서도 우리나라는 종합 6위를 기록했지만 인재 부문 순위는 13위에 불과해 관련 인재 양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가 3년 전 내놓은 ‘디지털 인재 양성’ 정책의 재탕이라는 비판도 일각에서 제기한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분야까지 합쳐진 생애주기 관점에서 AI 교육을 지원하는 것이 3년 전 대책과 다르며 AI 교육 격차 해소 방안도 담았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hop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