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회복을 목표로 ‘탄생응원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서울시가 민간 산후조리원과 손잡고 이른바 ‘반값 산후조리’ 시범서비스에 나선다. 시는 2027년까지 서울 전역에 ‘서울형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해 산모들의 부담을 절반 수준으로 낮춘다는 구상이다.
10일 서울시는 내년부터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민간 산후조리원 5곳을 공모해 상반기 중 운영을 시작하고, 시범운영 성과를 평가해 2027년부터는 시 전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서울에서 민간 산후조리원을 2주 이용할 경우 평균 비용은 491만원, 최고 가격은 4020만원(6월 기준)까지 치솟는다. 서울형 모델은 평균의 절반 수준인 약 250만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과 달리,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주체가 되고 시가 협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서울시내 산후조리원 산모실(1964실)은 출생아 수 대비 과잉"이라며 "공공과 민간이 상생하면서도 효율적인 협력형 대안으로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모델을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서류·현장심사와 심의위원회를 통해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 조리원은 서울 거주 산모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지만, 취약계층·다자녀 산모에게 우선권을 준다. 이용료는 민간 중위요금 기준 2주 390만원으로 책정되며, 산모는 250만원만 부담하고 시가 나머지 140만원을 지원한다. 결과적으로 서울 민간 평균 비용(491만원)의 절반만 내면 이용 가능한 구조다. 다자녀·한부모 가정은 50%, 저소득층은 100% 추가 감면도 적용된다.
서울시는 민간 산후조리원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시설개선 비용으로 최대 5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안심 산후조리원에서는 입소 전 ‘출산준비 교육’(2회 이상), 입소 후 모자동실, 모유수유 지원을 기본 제공하고 유방·전신관리, 산후운동 등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정소진 시 건강관리과장은 "신규 건립에 100억원 이상, 최소 3~4년이 소요되고 운영에 재정부담이 따르는 공공 산후조리원과 달리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공공성과 민간의 전문성을 결합한 합리적 상생모델"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newsuyeo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