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을 본격화한다.
LH는 정부의 ’9·7 공급 대책’의 후속 조치로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전담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한다고 10일 밝혔다. 전담 TF는 복합개발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며 △국토부·LH·지자체 간 협력체계 지원 △신규 사업지 발굴 △복합 유형별 사업모델 수립 △관련 제도·법령 개선 지원 등 사업 속도와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업무를 전담 수행하게 된다.
정부는 앞서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노후 공공청사 부지를 활용한 복합 거점형 모델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복합개발 모델은 주거시설과 행정·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한 건물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지역 개방형 생활공간이자 도심형 복합생활거점으로 조성된다.
LH는 노후청사 복합개발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총 28개 지구 4956호를 준공했다. 지난해 9월에는 서울 강동구에 기존 노후 주민센터 부지를 활용해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를 건립한 바 있다.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는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이며 지상 1층~6층에는 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경로당,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이 배치됐으며, 7층부터 14층에는 공공임대주택(94가구)이 들어섰다.
강오순 LH 지역균형본부장은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은 주거공급 확대, 노후 공공자산 활용,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사업모델”이라며 “노후 공공청사 개발사업 속도를 높여 수도권 도심 내 주택공급을 빠르게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dhyo@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