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경영 목표를 달성할 경우 1조 달러(약 1450조 원)의 보상을 받는다. 일부 주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천문학적인 보상안이 주주총회 문턱을 넘으면서 머스크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자율주행 및 인공지능(AI) 사업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6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미국 텍사스 오스틴의 테슬라 본사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향후 10년간 1조 달러(약 1450조 원) 규모의 CEO 보수 패키지가 가결됐다고 보도했다. 이 패키지는 시가총액 8조 5000억 달러 등 경영 목표를 달성할 경우 회사가 1조 달러에 상당하는 보통주 4억 2300만여 주를 2035년까지 12단계에 걸쳐 지급하는 안이다.
앞서 테슬라 주요 주주 중 하나인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이 안건에 반대표를 던지겠다고 공언했다. 세계 최대의 의결권 자문사인 ISS와 글래스 루이스도 투자자들에게 반대를 권고했지만 주주의 75% 이상이 찬성표를 행사했다. 결과가 발표되자 현장에 참석한 주주들은 박수를 치며 환호했고 “일론! 일론!”이라며 그의 이름을 외쳤다. 곧이어 무대에 나온 머스크는 1분가량 춤을 추기도 했다. 이날 투표에는 테슬라 지분 13∼15%가량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머스크 본인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머스크가 이 주식을 모두 받으면 그가 보유한 테슬라의 지분가치는 약 2조 4000억 달러에 달하게 되며 이는 현재 그의 순자산 약 4600억 달러의 다섯 배 이상 규모라고 전했다. 그렇게 되면 그의 순자산은 현재 전 세계 7개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선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한편 이날 머스크는 자체 설계 중인 차세대 AI 칩 AI5에 대해 “기본적으로 4곳에서 만들어질 것”이라며 삼성전자 한국 공장과 TSMC 생산 기지 3곳(대만·텍사스·애리조나)을 호명했다. 또한 “이미 AI6을 위한 개선 계획도 갖고 있어 AI5 생산 시작 후 1년 안에 동일한 시설에서 AI6으로 전환하고 모든 성능 지표를 두 배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머스크는 AI 칩 생산을 늘리기 위해 자체 생산시설 확보 구상도 내놓았다. 그는 “내가 고민 중인 것은 어떻게 하면 충분한 칩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라며 “테슬라 기가 팩토리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테라 팹을 만들어야 할 것 같다. 우리가 원하는 칩 물량을 확보할 다른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 반드시 해야 한다”고 밝혔다. 테라 팹의 구체적인 규모나 건설 계획을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최소 월 10만 개의 웨이퍼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epys@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