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포항이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서 보류된 것과 관련, 재심의에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7일 경북도와 포항시에 따르면 올 5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실무위원회 평가를 거쳐 전국 7곳이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후보지로 선정됐으나 지난 5일 개최된 에너지위원회에서 포항을 비롯한 울산, 충남 서산 등 3곳이 결정 보류됐다.
포항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무탄소에너지 공급시스템 실증사업으로 전력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사업모델이다.
무탄소 연료인 암모니아를 개질(2NH3→N2+3H2)해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수소엔진발전기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탄소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적 미래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항 흥해읍 일원 영일만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청정 암모니아 기반의 수소엔진발전 실증을 통해 무탄소 분산전원을 상용화해 청정전력을 수요기업에 직접 공급한다는 것이 경북도와 포항시의 계획이다.
분산 사업자로는 GS건설과 아모지, HD현대인프라코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다.
특히 2차전지와 철강기업 등 국가 핵심산업이 밀집해 있는 포항의 경우 이번 사업이 전력수요 증가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비한 무탄소 전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보류 결정으로 많은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도는 지정 필요성 논리를 보완해 차기 에너지위원회 재심의에서 반드시 지정될 수 있게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번 에너지위원회 개최 결과를 반영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관계 부처인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긴밀하게 협의하는 등 분산특구 지정에 대비한 준비를 착실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s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