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호선 동대문역과 종로5가역 사이의 노후 도심에서 정비사업을 통한 대규모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정비구역 지정과 함께 정비사업 추진의 기준이 되는 건물 높이, 용적률 등 정비계획의 주요 기준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전날 열린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종로구 효제동 292-2번지 일대 효제 1·2·3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경관심의안이 수정가결됐다고 6일 밝혔다.
효제 1·2·3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은 종로, 대학로, 김상옥로, 율곡로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이번 정비계획은 이곳에 3개 정비구역과 정비유형별 총 30개 지구와 함께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 건축 기준이 제시됐다. 일정 규모 이상의 복합 용도 개발을 통해 도심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부지 면적 3000㎡ 이상의 2개 이상 용도 계획은 건물 기준 높이 70m를 90m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지역 인구의 감소 추세를 감안해 도심부 공동화 방지와 주거 공급을 위해 주거를 주용도로 개발할 수 있고, 주거 용도 도입 시 주거 비율에 따라 최대 100%까지 용적률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서울시는 도심 보행 환경 개선과 녹지 확보를 위해 종로변은 인근 피맛길을 고려한 저층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대학로와 청계천을 잇는 흥덕동천 보행축인 종로39길 도로 양측과 흥덕동천 진입부에는 개방형 녹지를 배치할 계획이다. 종로변의 기존 지역 특화 업종인 의약학 관련 업종의 재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허용 용적률 인센티브 조건을 마련했다. 상가 세입자 보호 대책 마련을 위한 허용용적률 인센티브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정비계획은 향후 각 사업지구별 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지침이 되는 공공정비계획으로, 구체적인 사업계획은 주민 제안을 통해 확정된다.
이곳은 앞서 2016년 서울시 재개발 사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법정 계획으로 수립된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근거로 정비예정구역 해제가 이뤄진 지역이다. 당시 기본계획은 종묘·경희궁·덕수궁 일대 역사문화적 특성 보전 등이 정비예정구역 해제의 이유로 제시됐다.
그러나 오세훈 서울시장의 2021년 4월 보궐선거 당선 후 2023년 수립된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서 도심 활성화를 위해 과거 해제된 정비예정구역의 재지정이 결정됐다. 이를 근거로 올해 9월 3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중구 주교동과 광희동 일대의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안이 수정 가결돼 결정 고시를 앞두고 있다.
서울시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일대, 중구 오장동, 종로구 충신동 일대 등의 주변 지역도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정비계획 수립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동대문 일대의 변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정비계획 결정에 따라 낙후돼 있던 서울 도심 동측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정비 방안이 마련돼 지역 경쟁력을 높이는 공간으로 재편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coo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