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경찰 순찰차가 사고로 위급한 산모를 이송하던 구급차에 길을 터주지 않아 교차로 한복판에서 정차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논란이 커지자 경찰이 해명에 나섰다.
5일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오후 9시쯤 부산 서구 구덕운동장 인근 구덕사거리에서 사설 구급차 한 대가 산모를 태우고 부산대병원으로 향하던 중 순찰차에 가로막혀 멈춰 섰다.
당시 산모는 차량에 배가 깔리는 교통사고를 당해 위중한 상태였다. 구급차는 사이렌을 울리며 1차로 정차 중인 순찰차에 양보를 요청했지만, 순찰차는 움직이지 않았고 결국 2차로에 있던 관광버스가 자리를 비켜준 뒤에야 구급차가 교차로를 빠져나갔다. 그러나 산모와 태아는 병원으로 옮겨진 뒤 끝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은 4일 유튜브 채널 '한문철TV'에 “역과 사고 당한 임신부 환자를 태우고 긴급 이송 중이던 구급차 앞에서 경찰차는 0.1초도 움직이지 않았다”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오면서 빠르게 확산됐다. 영상에는 교차로 한복판에서 사이렌을 울리며 멈춰 선 구급차와, 그 앞에서 꼼짝하지 않는 경찰 순찰차의 모습이 담겼다.
누리꾼들은 “국민의 생명을 지켜야 할 경찰이 오히려 생명을 막았다”, “단 1초라도 비켜줬다면 어땠을까” 등의 비판을 쏟아냈다.
이에 대해 경찰은 접근하는 구급차를 인지하기엔 시간이 너무 짧았고, 이동시 구급차가 움직이기에 더욱 어려운 여건이 됐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주행하던 구급차가 2~3차로를 주행하다가 1차로에 서 있던 순찰차 뒤로 왔다"며 "구급차의 존재를 인지했을 때는 이미 버스가 자리를 비켜 구급차가 2차로로 빠져나가던 중이었는데 이 모든 것이 2~3초 찰나에 발생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순찰차 좌측에 중앙분리대, 우측에 대형버스가 있었고, 앞쪽은 좌회전하는 차량이 이동하고 있어 순찰차가 이동했다면 오히려 구급차가 통과하기 어려웠던 상황"이라며 "구급차가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면 경찰은 오히려 에스코트하거나, 상황실에 보고해 신호를 통제하는 등 지원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rem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