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개선을 위해 비타민C를 섭취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비타민C 복용이 우울 증상을 치료한다는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성근·정주영 강북삼성병원 서울건진센터 교수팀은 2013∼2018년 이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중 우울 증상이 없는 9만1113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식품 빈도 설문지를 통해 식사를 통한 비타민C 섭취량을 조사하고, 섭취량에 따라 총 4개 그룹으로 나눠 평균 5.9년동안 추적 관찰했다.
우울증 척도(CES-D)를 통해 그룹별 우울 증상 발생 위험을 평가한 결과 비타민C 섭취량에 따른 우울 증상 발생 위험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제를 통해 비타민C를 복용하는 사람들 역시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우울증 위험이 유의하게 낮아지지 않았다.
박성근 교수는 "비타민C가 항산화 등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지만 정신 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비타민C의 효과에 대해 과도하게 기대하거나 권고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며 "다만 장기적인 효과나 다른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정신생물학'(Neuropsychobiology) 최근호에 실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alglasses@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