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과 더불어 미래 기술패권을 좌우할 핵심 분야로 꼽히는 양자기술의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이 국회에서 열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표준연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5일 서울 국회 박물관에서 ‘국가 미래전략 기술의 핵심, 양자’를 주제로 ‘양자 국가 전략기술 국회포럼’을 개최했다.
양자 분야의 글로벌 산·학·연·관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해 한국형 양자기술 발전 로드맵 수립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기조 강연에서는 백한희 IBM 양자 알고리즘 센터 총괄 전무가 연사로 나서 양자기술 선도국의 연구개발 전략과 주요 정책 동향을 소개하고 국가 전략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이어진 발표 세션에서는 김태현 서울대학교 양자연구단장이 ‘양자컴퓨팅의 현재와 미래’를, 최재혁 KRISS 양자기술연구소장이 ‘KRISS의 양자기술 연구: 성과 및 비전’을 주제로 발표해 우리나라 양자기술 개발 현황과 당면 과제를 공유했다.
이어진 포럼에서는 김재완 KRISS 초연결확장형 슈퍼양자컴퓨팅 전략연구단장을 좌장으로 기조강연자와 김태현 서울대 양자연구단장, 심주섭 과기정통부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 윤천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자기술연구본부장,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자기술연구단장이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에서는 연구개발(R&D) 전략, 정책 방향, 국제협력 체계 등 핵심 의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산·학·연·관 협력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KRISS 이호성 원장은 “이번 포럼이 국가 양자 전문가들의 역량을 결집해 대한민국이 양자 기술 강국으로 '퀀텀 점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ypar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