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성과 필리핀 현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코피노’ 자녀를 외면해온 남성들이 시민단체가 얼굴을 공개하자 연락을 취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3일 양육비를 미지급하는 부모의 신상을 온라인에 공개해 온 ‘양육비 해결하는 사람들(양해들·구 배드파더스)’의 구본창씨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필리핀 싱글맘들의 아빠 찾기가 보도된 뒤 수년간 연락조차 차단했던 코피노 아빠들이 싱글맘들에게 연락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7일에도 구씨는 “7년 전 도망간 아이 아빠가 갑자기 연락을 해왔다”며 “아빠 찾기 기사가 나가면 사진 공개가 염려되는 아빠들이 반응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양해들은 앞서 지난달 23일과 25일 SNS에 코피노 아빠들의 사진을 공개하며 “2010년에 출생한 딸, 2014년에 출생한 아들, 2018년에 출생한 딸을 각각 두고 한국으로 떠난 아빠들을 찾는다”고 밝혔다. 특히 2018년생인 한 코피노 아동은 병원비가 없어 제대로 치료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자신의 거주지를 북한 평양이라고 속인 코피노 아빠의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양해들은 이 남성과 사이에서 낳은 아이를 키우고 있는 현지 여성이 보낸 도움 요청 메시지도 공개했다.
구씨는 “이들을 찾으려면 여권번호나 한국 휴대전화 번호가 있어야 하지만 동거할 때 이를 의도적으로 감춘다”며 “얼굴을 공개하는 것이 최후의 방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아이 아빠를 찾는 사진을 올린 뒤 제보도 많지만 명예훼손 고소 협박도 많다”며 “사실적시 명예훼손으로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있다는 변호사 조언도 있었지만 여권과 휴대전화 번호 없이 아이 아빠를 찾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 이렇게 SNS에 아빠 사진을 올리는 것이 마지막 희망”이라고 토로했다.
구씨는 지난 2018년부터 인터넷 사이트 ‘배드파더스’를 운영하며 양육비 지급을 거부하는 부모의 신상을 공개해왔다. 그는 "한국 사회가 코피노 문제를 외면한다면, 머지않아 국제적 인권 비판의 대상이 될 것"이라며 "코피노 아이들의 숫자 5만 명이 반한 감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건 단순한 해외 스캔들이 아니라 한국의 책임 문제"라며 다시 한번 경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jna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