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은 수평 아닌 아래위의 사선으로 움직여야
스윙은 회전이고, 척추 각(spine angle)은 회전을 할 때 축이 되기 때문에 움직임 없이 견고하게 유지돼야 한다. 하지만 정확한 방법으로 유지해야 한다. 척추 각 유지를 위해 백스윙을 할 때 하체를 잡아줘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예전의 이런 레슨은 이제 통용되지 않는다. 의도적으로 하체를 잡고 백스윙을 하려다가 왼쪽 무릎이 앞으로 튀어나오면서 회전이 이뤄지지 않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된다. 척추 각 유지를 위한 가장 큰 요소는 골반과 무릎이다.
우선 골반의 힌지(hinge), 즉 접힘의 각도가 척추 각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똑바로 서서 정면을 향해 있을 때는 골반이 척추와 일직선을 이루고, 상체를 숙일수록 척추와 골반 사이가 접히면서 힌지 각도가 생긴다. 스윙을 하는 동안 이 힌지 각도를 유지하면 예쁜 스윙이 만들어진다.
문제는 골반의 움직임이다. 회전하는 동안 골반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이렇게 하면 무릎이 튀어나오면서 어쩔 수 없이 골반이 서서히 일어나게 된다. 백스윙은 몸 안쪽으로 빠지게 되고 다운스윙 때는 배치기라고 부르는 얼리 익스텐션도 발생하기 쉽다.
골반은 수평이 아니라, 시소처럼 아래위 사선으로 움직인다는 느낌을 받아야 한다. 투어 선수들을 자세히 보면 백스윙 때 오른쪽 무릎이 약간 펴지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동작을 만들 필요가 있다. 클럽을 골반 앞쪽에 대고 백스윙을 했을 때 샤프트가 수평을 유지하는 게 아니라 오른쪽이 위로 향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백스윙 때 오른쪽 허벅지 뒤쪽이 약간 당겨지는 느낌이 들고 왼쪽 무릎은 왼쪽 아래 사선으로 떨어지는 모양이 된다. 다운스윙 때는 왼쪽 골반이 접히고 척추 각이 아래로 눌리는 느낌이 드는데, 이것이 견고한 스윙의 감각이다.
체중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고 분배돼
백스윙 때 골반의 접힘 각도를 유지해 척추 각도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감각을 익히는 데에 도움이 되는 연습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볼 하나를 오른발 앞쪽으로 밟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스윙을 하면 어쩔 수 없이 체중이 뒤쪽으로 가게 돼 자연스럽게 오른쪽 무릎이 살짝 펴지면서 골반이 위로 올라간다. 백스윙이 약간 업라이트하게 올라가는 느낌이 날 텐데, 이는 정상적으로 스윙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체를 잡지 않아 회전 범위도 커진다.
두 번째 방법은 얼라인먼트 스틱이나 못 쓰는 샤프트처럼 가는 막대를 발바닥 가운데 부분으로 밟고 스윙을 하는 것이다. 백스윙을 하면서 발바닥 중앙에 있던 체중이 왼발 앞쪽과 오른발 뒤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느껴본다. 반대로 다운스윙 때는 왼발 뒤쪽과 오른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체중은 양발 다 앞이나 뒤로 가는 것이 아니라 앞뒤 방향으로 분배되고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발바닥 아래에서 보면 8자를 옆으로 눕힌 형태를 따라 이동한다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김기환 남서울CC 로직골프아카데미 원장은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선수 출신으로 이정은6, 박보겸 등을 지도하고 있다. 동작 시범을 맡은 오세희는 2020년 KLPGA 정회원으로 입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ygolf@sedaily.com








